상(床)을 베푸시는 하나님
by 박혜영2023-11-22

우리는 성찬의 말씀을 나누고, 주의 떡과 잔을 함께 먹는 시간을 갖습니다. 매번 이 시간을 맞이할 때마다 이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은혜의 방편’이 될 수 있다는 자세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성찬식의 기원은 흔히 알고 있는 “주 예수께서 잡히시던 밤”(고전 11:23)보다 훨씬 이전인 광야 시대의 성막에 놓인 ‘상’에 있습니다(참고. Brant Pitre, Jesus and the Last Supper). 레위기 24:5-9출애굽기 25:23-30은 둘 다 광야의 성막 안에 설치한 ‘진설병 상’에 대한 설명입니다. “너는 대접과 숟가락과 병과 붓는 잔을 만들되 정금으로 만들지며, 상 위에 진설병[떡]을 두어 항상 내 앞에 있게 할지니라”(출 25:29-30). 숟가락까지 준비해 놓은 걸 보면, 이는 식사를 위한 상이었음이 분명합니다. 특히 하나님 앞에[“내 앞에”]서 먹고 마시는 상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누가 베푸신 상일까요? 하나님이 베푸신 상임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놓은 떡(진설병)이 특이합니다. ‘기념의 떡’이었으며, 이스라엘 자손을 위한 “영원한 언약”이었습니다(레 24:7, 8). “기념[기억]”을 위한 것이라니, 먼저 이런 상을 베푸신 적이 있다는 뜻 아닐까요? 그렇습니다. 시내산 언약식 장면입니다. “이 모든 말씀에 대하여 너희와 세우신 언약의 피니라.… 이스라엘 하나님을 보니 … 이스라엘의 존귀한 자들에게 손을 대지 아니하셨고 그들은 하나님을 보고 먹고 마셨더라”(출 24:10-11). 모세를 중보자로 하여 하나님과 피의 언약을 맺은 이스라엘의 대표들에게 하나님이 상을 베푸셨습니다. “하나님을 보고” 먹고 마셨다니, 이는 하나님 앞에서 먹었다는 뜻입니다. 이 장면(출애굽기 24장)이 끝나자마자 성막 설치에 대한 지시(출애굽기 25장)가 나오는 걸 보면, 성막 안 ‘진설병 상’은 시내산 언약 식사의 축소 모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구약학자들은 성막을 ‘휴대용 시내산’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진설병 상’의 떡을 ‘기념의 떡’이라고 하는 이유는 그 시내산 언약 식사를 기념하려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친히 베푸신 상이라니 얼마나 거룩하고 중요합니까! ‘진설병 상’이 언급된 구약의 본문을 찾아보면, 거의 언제나 지성소 안의 ‘증거궤’ 다음으로 등장합니다. 얼마나 거룩하고 중요한지 지성소의 증거궤와 ‘진설병 상’만 삼중 포장하여 이사합니다(민 4:6-8). 성막의 다른 기구들은 이중 포장이면 충분했습니다.


그렇게 하나님이 구약 이스라엘 12지파를 위해 베푸신 ‘진설병 상’을 유월절에 예수님이 12 제자에게 베푸셨습니다(눅 22:14-20). 이 상은 예수님이 베푸신 게 분명합니다. 14절 문장을 원문 순서로 읽으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때가 이르매 예수께서 앉으시니, 제자들이 함께 하니라.’ 예수님이 주인이었고, 12제자는 초청을 받았습니다. 무엇을 위한 초청입니까? 새 언약을 세우기 위함입니다. 이 식사 자리에서 떡을 주시며 “나를 기념하라”고 하셨으며(눅 22:19), 잔을 주시면서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라 하셨습니다. 구약 12지파를 대표하는 제사장들이 ‘얼굴의 떡[진설병]’(출 25:30)을 먹었듯이, 12제자는 “내 몸”(눅 22:19), 곧 ‘주의 몸’을 먹었습니다. 정리해 보면, ‘진설병 상’이 이어져 내려온 순서는 이렇습니다. 출애굽기 24:10-11출애굽기 25:23-30(레위기 24:5-9)→누가복음 22:14-20.


광야 백성에게 상을 베푸신 분이 하나님이듯, 교회의 신자들에게 상을 베푸시고 초청하시는 분은 예수님입니다. 이 상의 기원은 시내산 언약이며, 예수님은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눅 22:7)에 새 언약을 세워 시내산 언약을 성취하셨습니다. 그러시면서 사도들에게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눅 22:19) 하셨기에, 오늘날 교회도 행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일러 ‘성찬식’이라 하는데, 주님이 베푸신 ‘언약의 식사’입니다. 


구약 이스라엘 백성이 ‘진설병 상’을 그렇게 거룩하고 중요하게 여겼다면, 교회의 신자들도 예수님이 베푸신 상을 거룩하고 중요하게 여겨야 합니다. 피곤하다는 이유로, 다른 일이 있다는 이유로 빠지는 교회의 정회원들이 있다면 유감스러운 일입니다(참고. 눅 14:16-20). 자신에게 흠이 있어 이 거룩한 식사를 감당치 못해 피한 것이라면, 더 좋은 방법은 참석하여 그런 내용을 주님께 고백하고, 한 몸이 된 교회의 성도들에게 고백하는 것입니다. 교회는 그렇게 세워가야 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공유하기
  • 공유하기

작가 박혜영

‘오라, 우리가 여호와의 산에 올라 말씀을 듣고 그 길로 행하자’ 외치는, 안양시 관양동에 있는 산오름교회의 목사.